Skip to Main Content

이야기가 있는 서가

이야기가 있는 서가란?

2019 이야기가 있는 서가는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가 함께 참여하여 선정한 테마별 도서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코너로 구성하여 서비스하는 컬렉션으로 운영합니다.

  • 컬렉션 위치 : 중앙자료실 이야기가 있는 서가 코너 (중앙도서관 원형1층)
  • 도서식별 : 책표지에 '이야기가 있는 서가' 안내 띠지 부착
  • 이용방법 : 이야기가 있는 서가에서 책 선정 후 직접 대출

[2019년 3차] 김상욱 교수 추천도서 : 과학의 눈으로 본 우주, 세상, 인간

 

 

매년 가을 중앙도서관에서 열리는 독서토론회가 45번째를 맞이하였습니다.

독서토론회는 이과대학 물리학과 김상욱 교수님과 함께 [과학의 눈으로 본 우주, 세상, 인간]이라는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최근 '알쓸신잡3'에도 출연하며 과학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고 흥미롭게 풀어 설명해주기도 했었던 분입니다.

 

2019년 3차 이야기가 있는 서가는 김상욱 교수님의 저서뿐 아니라 김상욱 교수님이 직접 추천한 추천도서 15종을 함께 전시합니다.

과학적 시각으로 인지하는 우주와 세상과 인간은 얼마나 신선하고 새로울지,

교수님의 저서와 추천도서를 읽으며 우주와 세상과 인간의 신비로움을 가늠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2019년 3차] "김상욱 교수 추천도서 : 과학의 눈으로 본 우주, 세상, 인간" 선정도서

[2019년 2차] 도서관, 건축을 읽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구성원들의 연구/학습 패턴은 변화합니다.

그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공간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우리 도서관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중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열린 도서관, 다양한 협업이 가능한 도서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작년부터 지속적인 리모델링을 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 여름에는 도서관에 그룹스터디룸을 새로 조성하고, 화장실과 로비, 시청각실 리모델링을 하여

새학기에는 도서관의 새로운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이야기가 있는 서가에서는 공간으로서, 건축물로서의 도서관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은 누군가에게는 책과 자료를 읽는 곳, 누군가에게는 협업의 장, 누군가에게는 문화행사를 누리는 곳,

누군가에게는 휴식의 공간일 것입니다. 그리고 도서관 건물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건축물이기도 합니다.

이번 이야기가 있는 서가의 선정 도서들을 통해 도서관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길 바랍니다.

새롭게 바뀐 경희대 도서관도 많이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19년 2차] "도서관, 건축을 읽다" 선정도서

[2019년 1차] 기형도 30주기 추모 컬렉션

 
 
2019년은 기형도 시인 30 주기입니다.
그가 살다간 짧은 생만큼의 시간이 더 흘렀지만 그가 읊는 청춘의 노래들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2017년에는 광명에 기형도 문학관이 설립되었고, 그의 유고시집은 30년이 지난 지금도 중쇄를 거듭하며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
30주년을 맞이하여 재출간되거나 트리뷰트 시집이 출간되는 등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도서관은 기형도(1960.3.13.~1989.3.7.) 시인을 추모하는 컬렉션을 마련하였습니다.
그의 저서뿐 아니라, 그가 대학 시절 활동했던 '연세문학회'의 지도교수이자 시인인 정현종, 
같은 동아리 문우이자 소설가인 성석제, 유고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잎'의 제목을 지어준 문학평론가 김현의 저서 등 관련 서적을 함께 전시합니다.
 
이번 컬렉션을 준비하며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김웅기 학생이 기형도 서평을 써 주었습니다.
함께 읽으며 시인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가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2019년 1차]기형도 30주기 추모 컬렉션

서울캠퍼스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티스토리 유튜브 국제캠퍼스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티스토리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