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6월 중순부터 학위논문 제출 기간이 시작됩니다. 우리 도서관에서는 경희대학교 대학원학칙에 의거하여 학위논문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번 학기부터는 온라인 제출을 통해 전자문서 형태로만 자료를 수집합니다.
DBPia AI는 DBpia의 데이터를 활용한 생성형 AI를 통해 논문 및 과제 작성 시 학술 논문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DBpia AI 기능 안내 : AI Search, IDEA, AI Viewer
[AI search]
: 궁금한 학술질문을 하면, AI가 2억 건의 논문으로 답변과 이용된 참고자료 제공
: 질문을 하면, 궁금한 내용을 알려주고 참고된 자료를 제공
: AI가 요약한 자료 핵심만 읽고, 필요한 자료만 열람
[Idea]
: 연구 키워드나 과제 내용을 입력하면 5가지 주제를 추천
: 주제를 더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소주제를 포함한 목차안을 제시
: DBpia가 보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제 및 목차에 적합한 논문을 추천
[AI Viewer]
: 목차 기준으로 한 요약과 연구방법 중심의 요약을 제공
: 논문 내용을 쉽고 간단하게 요약하고 AI가 주요 문장과 개념을 정리하여 제공
: 논문에 대해 직접 질문하거나 AI가 제안하는 질문 가능
트라이얼 기간 이후에는 월 사용량이 제한될 예정이니 트라이얼 기간동안 많은 관심과 이용부탁드립니다.
우리 도서관 홈페이지와 다양한 DB에서 참고문헌을 간단하게 작성하는 간단한 방법을 안내합니다.
[참고문헌작성 스타일]
일반적으로 리포트, 학위논문, 학술논문 등을 작성할 때는 참고한 자료를 문서 끝부분에 <참고문헌> 리스트로 정리하게 됩니다. 참고문헌 작성에는 MLA, APA, Chicago 등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스타일과 자료 유형(도서, 저널, 웹사이트 등)에 따라 출처 표기 방식이 달라집니다. 이처럼 다양한 형식에 맞추어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참고문헌을 자동으로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각종 DB에서 참고문헌 인용하기]
자료를 검색한 화면에서 인용/Cite/ "(큰따옴표 표시)와 같은 기능을 찾으면 원하는 스타일로 참고문헌을 바로 생성하여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용 기능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참고문헌 양식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관계로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수정사항이 있는지 확인한 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 스타일별 참고문헌 가이드 바로가기
도서관 홈페이지 > 연구학습지원 > Research Guides > 참고문헌 스타일 가이드
► 참고문헌 관리도구
도서관 홈페이지 > 연구학습지원 > 논문작성 및 출판지원 > 참고문헌작성 > 참고문헌관리도구
우리 도서관에서는 구독 중인 전자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술정보활용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강을 원하는 교육 일정은 도서관 홈페이지의 캘린더에서 확인 후 신청하여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 도서관 교육 일정 바로가기 : 도서관 홈페이지 > 연구·학습지원 > 정보 탐색 및 수집 > 학술정보 교육
또한, 실시간 강의 수강이 어려운 경우에는 아래 링크를 통해 경희대학교 전용 교육 영상을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교육동영상 자료실 : 도서관 홈페이지 > 연구·학습지원 > 정보 탐색 및 수집 > 학술정보교육 > 교육동영상 자료실
이외에도 각 출판사에서는 자체 사이트와 YouTube 채널을 통해 동영상 안내자료 및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정보원의 유용한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DB 명을 누르면 동영상으로 연결됩니다.)
DB명 | 상세안내 |
Proquest Central | [국외/전주제DB] 2만여 종의 학술저널, 매거진, 신문, 국가보고서 등 다양한 학술자료 및 참고자료 |
PQDT Global |
[국외/학위논문 DB] 북미지역(미국) 석·박사 학위논문 및 캐나다, 유럽, 아시아 지역 등 전세계 학위논문 |
EBook Central | [국외/전주제 전자책] 전 주제 분야의 해외 전자책 |
AVON | [국외/전주제 비디오자료] 학술용으로 선별된 7만 7천편 이상의 비디오 스트리밍 컬렉션 |
O'Reilly for Higher Education | [국외/IT, 비즈니스 분야 DB] 45,000권 이상의 전자책, 비디오, 교육자료, 튜토리얼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
SCOPUS | [국외/전주제 색인 및 인용 DB] 전세계 5,000여개 출판사에서 발행되는 저널 21,000종의 색인 및 초록 제공 |
Web of Science | [국외/전주제 색인 및 인용 DB] 전 세계 상위 저널에 대한 인용 및 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 / SCI(E)(자연과학), SSCI(사회과학), AHCI(인문예술) 분야 Citation Index 제공 |
JCR | [국외/전주제 색인 및 인용 DB] SCI(E), SSCI, A&HCI 저널들의 Impact Factor, 주제분야별 순위 등의 저널정보 |
Statista | [국외/통계 & 데이터 DB] 방대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150만건 이상의 통계데이터, 연구리포트 등을 제공 |
Refworks | [국외/참고문헌관리도구] 참고문헌 수집 및 관리, 논문작성 활용 (인용, 참고문헌 리스트 작성) |
EndNote 21 | [국외/참고문헌관리도구] 참고문헌 수집 및 관리, 논문작성 활용 (인용, 참고문헌 리스트 작성) |
Mendeley | [국외/참고문헌관리도구] 참고문헌 수집 및 관리, 논문작성 활용 (인용, 참고문헌 리스트 작성) |
DBPia | [국내/전주제 저널] 전 주제분야의 국내 학회지 원문 제공 |
KSDC | [국내/조사통계 DB] 국내외 통계자료 및 온라인 조사/분석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