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Open Access

Open Access(오픈 액세스)는 "학술정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과 이용" 이라는 개념으로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어디서든지 각종 연구성과물들을 출판과 동시에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적 운동이다. 따라서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 없이 연구 성과물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학술정보는 금전적인 수익창출보다는 널리 활용되어 그 업적을 해당 분야에서 인정받도록 하는 사회적 합의가 바탕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용자는 물론 연구 생산자까지도 고비용, 저작권, 비표준화 등으로 인해 정보와의 접근이 어려우며 따라서 학술활동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오픈 액세스가 활성화 되면,

연구자(저자)는 본인의 연구 결과물을 보다 쉽게 전세계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알림으로써 연구의 가시성 및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도서관은 학술지 구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식정보 중계자로서 자관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물을 보존할 수 있다.

정부 및 공공기관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연구기금으로 생산된 연구성과물들의 디지털 보존체제를 구축하여 대국민 공공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다.

출판사 및 학회는 기존 학술지 구독료에 의존하던 수익모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무료이용이 확대될수록 출판사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http://www.oak.go.kr/about/aboutOak.do?menuSeq=80 / 2019.11.19 열람 >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실현

연구자는 오픈 액세스 학술지에 자신의 논문을 투고하고,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자신의 연구 성과물을 기탁한다.

  • 논문 집필을 완료하면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우선적으로 논문을 투고한다.
  • 비오픈액세스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경우, 투고요령에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를 통해 아카이빙을 허용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요구한다. 발표된 논문은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할 것을 주장한다.
  • 자신의 논문, 연구보고서, 세미나 자료 등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한다.

 

정부/공공기관은 오픈 액세스 거버넌스 조직 구성을 통해 오픈 액세스 활동을 지원한다.

  • 오픈 액세스를 위한 정보공유 운동 및 정책 연대를 조직한다.
  • 국내 지식정보의 공공접근 의무화를 법제화를 추진한다.
  •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 구축 및 오픈 액세스 학술지 발간을 지원한다.

 

출판사/학회는 오픈 액세스 정책을 수용하고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성과물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기탁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 오픈 액세스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명문화하여 공지한다.
  •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를 채택하여 저자와의 권리관계를 명시한다.
  • 저자들이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논문을 기탁하고자 할 때 이를 허용한다.

 

도서관은 오픈 액세스 옹호활동을 통해 학술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기여한다.

  • 기관 리포지터리 이용을 통해 연구 성과물의 장기보존 및 유통책무를 준수한다.
  • 연구자의 연구 영향력 평가를 지원함으로써 인용률 향상에 기여한다.
  • 오픈 액세스 정보자원 발굴 및 연계를 통한 정보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

< http://www.oak.go.kr/about/aboutOak.do?menuSeq=80 / 2019.11.19 열람>

 

오픈 액세스(Open Access) 모델

그린(green) 오픈 액세스 : 셀프 아카이빙

그린 오픈 액세스 모델에서는 저자가 구독 형식의 저널에 출판함과 동시에 논문을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저널은 유료이지만 연구자는 리포지터리(Repository)를 통해 논문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저자가 오픈 액세스 출판에서 출판 비용을 낼 수 없을 때 이 경로를 많이 택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리포지터리에 게재되는 논문들은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다른 곳에서 동료심사 과정을 따로 거쳐 출판 또는 공개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 모든 구독 저널이 논문의 리포지터리 게재를 허용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논문을 제출하고자 하는 저널이 셀프 아카이빙을 지원하고 있는지 미리 확인해 보고, 셀프 아카이빙 전에 저널의 허가를 구하는 것이 좋다.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에는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리포지터리와 독립 리포지터리가 있고, bioRxiv, Nature Precedings, PubMed Central처럼 특정 주제에 한정된 곳과 arXiv, Global Open Access Portal, Zenodo처럼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곳이 있다. OpenDOAR에서 제공하는 리포지터리의 목록에서 원하는 리포지터리를 찾을 수 있다.

리포지터리에 셀프 아카이브 될 수 있는 논문에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종류가 있다. 논문이 동료심사를 받기 전 저자가 가지고 있던 미수정 논문인 출판 전 임시 인쇄본(PrePrint)과 동료심사를 받은 후 그에 대한 피드백 안이 적용되었으나, 저널이 출판용으로 서식을 완성하기 전 버전, 그리고 저널 발행본이나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서식으로 완성된 최종 PDF 버전의 논문 등이 있다.

 

골드(gold) 오픈 액세스 : 오픈 액세스 저널

골드 오픈 액세스 모델에서는 오픈 액세스 저널이 독자에게 동료심사가 이루어진 논문에 대한 무료 이용을 허용하나, 논문 출판 비용(Article Processing Charge, APC)은 저자에게 부과한다. 많은 경우에 저자의 소속 기관이나 연구지원 기관 등에서 부담하는 것이 보통이나 골드 오픈 액세스 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출판비용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나 정책 등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많은 대규모 출판사에서 오픈 액세스 출판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와 같이 순수 오픈 액세스인 저널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올바르지 못한 약탈적(predatory) 저널도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연구자들은 오픈액세스 저널 디렉터리 (DOAJ)와 같은 주요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터리를 통해 각자의 분야에서 적절한 오픈 액세스 저널을 찾기 위해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 종류

완전형 오픈 액세스 저널 (Fully Open Access Journal)

  • 출판되는 모든 논문이 저널 웹사이틀르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저널 자체가 오픈액세스 형태인 저널
  •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 – 대표적인 비영리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사로 논문출판비용을 저자 및 연구지원 기관에 부과하고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논문 제공
  • BioMed Central – 생명공학 및 의학 분야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사

 

하이브리드형 오픈 액세스 저널 (Hybrid Open Access Journal)

  • 구독기반 저널 중 오픈 액세스 출판 옵션을 제공하는 저널로 주요 상업 출판사 및 학회 출판사에서 해당 옵션 제공

 

지연형 오픈 액세스 저널 (Delayed Open Access Journal)

  • 구독기반 저널 중 일정 기간 동안은 논문을 유료로 제공 후 오픈 액세스로 전환하는 저널
  • 유료로 논문을 제공하는 기간을 엠바고(embargo) 기간이라고 칭하며, 보통 6개월~12개월 설정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잘못 알고 있는 오픈 액세스 저널(Open Access Journal) 상식

오픈 액세스 저널은 동료심사를 전혀 거치지 않는다?

동료심사를 거치지 않는 오픈 액세스 저널도 있으나, 대부분의 OA 저널은 기존의 구독형 저널과 유사한 동료심사 과정을 거친다. 인덱스 작업을 위하여 저널을 평가할 때 동료심사 내용이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임펙트 팩터를 가진 모든 오픈 액세스 저널은 엄격한 심사 과정을 보유하며, “오픈 액세스”라는 말은 단지 출판된 자료의 사용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이다.

 

오픈 액세스 저널은 기존 구독형 저널보다 질이 떨어지는 저널이다?

오픈 액세스 저널은 종종 출판될 수 없는 내용이 올려지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은 해당 분야의 선두 저널로 인정받는 경우도 많으며 높은 임펙트 펙터(IF)를 보유하고 있다.

 

오픈 액세스 논문은 저작권(Copyright)이 보호되지 않는다?

어떤 연구자들은 오픈 액세스 논문의 모든 내용은 저작권이 보호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 오픈 액세스는 주로 저작권을 출판사에게 넘기지 않고 저자 자신이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구독형 저널에 출판한 저자가 자신의 글이나 도표 등을 수업을 위해 재사용하고자 할 때 허락을 받아야하는 경우가 있으나, 오픈 액세스 저널에서는 원저자를 적절히 인용하기만 하면 모든 내용을 허락 없이 재사용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스(Creative Commons)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구자의 논문은 정당하게 인정받고 최대로 널리 보급될 수 있게 된다.

 

오픈 액세스는 단순히 유행(passing fad)에 불과하다?

어떤 연구자들은 오픈 액세스 저널이 일종의 트랜드이며 기존 출판 방식에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최근의 오픈 액세스에 관한 자료 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매달 더 많은 오픈 액세스 저널이 시작되어 2012년 12월에 DOAJ에 등록되었던 저널이 98개에서 현재에는 8,602개로 증가하였다. PLOS ONE같이 널리 알려진 오픈 액세스 저널의 경우에는 전례 없는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현재 하루에 70편이 넘는 저널을 출판하고 2011년에 출판된 저널이 총 14,000편이 넘는다.

PLOS ONE의 성공에 힘입어 그 이후에 새로이 나온 오픈 액세스 저널들로는 Scientific Reports (www.nature.com/srep), BMJ Open (British Medical Journals group, bmjopen.bmj.com), PeerJ (peerj.com), 그리고 eLife (a joint venture of the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the Max Planck Institute, and the Wellcome Trust; www.elifesciences.org)등이 있다. 또한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과 같은 기관에서 기금을 받아 연구한 논문은 일반 대중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했고 하버드 대학을 포함한 개인 연구 기관의 내용도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요 출판사와 기관, 그리고 연구지원기금 단체의 주요 관심이 새로운 오픈 액세스 모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픈 액세스는 독자에게만 좋고 저자에게는 좋은 점이 없다?

흔히들 오픈 액세스 저널은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이타적인 노력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오픈 액세스가 무료로 연구 내용을 공개함으로써 독자에게 커다란 이점을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연구자에게도 좋은 점이 있다. 배포가 쉽고 가시성(visibility)이 높기때문에 인용 횟수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 http://www.cre.or.kr/board/?board=thesis_articles&no=1389285 / 2019.11.19 열람 >

서울캠퍼스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티스토리 유튜브 국제캠퍼스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티스토리 유튜브